전체메뉴

화가의 안식년, 한희원의 트빌리시 편지 21. 우플리스치헤

입력 2020.04.02. 10:06
철의 장막 스탈린 고향은 관광명소가 되고
'우플리스지헤를 흐르는 므뜨끄바리 강변'

별이 흘린 눈물의 강은 슬프지 않다

나무숲을 걷는다

저녁이 찾아오는 짙은 나무숲이다

바람은 늦고 무거웠다

나무 숲 언덕너머로 푸른 눈물이 마르지 않는 수채화처럼 옅게 물들어있다

나는 숲길은 걷는다

숲은 말이 없었고

두근거리는 심장소리만 들려온다

언덕너머에는 일찍 길을 떠난 별들이 잠들어있다

잠든 별의 심장소리는

눈이 먼 젊은 수도사의

기도소리

나의 기도는 지금 어느 곳에 머무르고 있나

내가 사랑하던 사람들은

어느 길을 걷고있나

별이 흘린 눈물의 강은 슬프지 않다

강에 배 띄워 흐르는 데로 몸을 맡긴다

그 강, 이 시간이 덧없지만 아름답다

나의 시간이 멈추는 그때

강이 들려준 기도를 기억한다

강이 혼자 읊조렸던 기도를

이제는 알 수 있으리라

언덕너머 강으로 가는 길을 걷다

나는 조용히 두 손을 잡는다

(한희원의 시 –별이 흘린 눈물의 강은 슬프지 않다-전문)


'귀향'


무수히 많은 생을 견디며 점점으로 새겨진 기억들. 어느 순간 불현듯 또렷하게 떠오르기도 하고 영원히 기억 저편으로 묻히기도 한다. '불현듯'이란 단어의 의미는 무엇일까? 실체도 없이 숨죽인 채 자리 잡고 있다가 문득 잊혀 진 기억에서 현실로 소환되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감춰진 기억 속에는 나도 모르는 그리움이 존재하고 있다. 불현듯 떠오르는 사람. 처음 와 본 듯 생소한 곳이지만 흐릿하게나마 발걸음을 한 것 같은 장소. 이유도 없이 가슴을 아리게 하며 내 존재를 흔드는 바람 같은 것. 그리움!

"오늘은 바람이 불고 나의 마음은 울고 있다 (중략) 오오 너는 어드메 꽃같이 숨었느뇨" 청마 유치환의 시 '그리움'의 일부이다. 어린 시절 청마의 시를 처음 대면했을 때의 가슴 떨림. 시인을 꿈꾸게 했던 청마의 시구가 아직도 기억 속에서 선명하게 남아있다.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로 시작되는 '바위'라는 시를 처음 접했을 때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향수로 나를 이끌었다. "비와 바람이 깎이는 대로 억년 비정의 함묵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이 구절은 어찌할 수 없는 그리움이 견고하게 쌓여 산화되어 가는 생의 비장함마저 던져주었다.

오늘은 광겁을 견디며 만들어진 암석의 동굴 도시 우플리스치헤(Uplistsikhe)를 찾아 가는 날이다. 수천 년 전 바위로 된 산을 깎고 깎아 도시를 형성했던 옛 조지아 사람들. 그들도 바위를 깎으며 억년 비정의 함묵을 안으로 채찍질 하였을까? 그들이 남긴 신화는 지금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우플리스치헤를 향하는 마음은 거대한 침묵의 신화를 향해 가는 탐험가 같은 심정이었다.

우플리스치헤는 트빌리시와는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 그곳을 가려면 구소련의 지도자였던 스탈린의 고향인 고리를 거쳐 가야 한다. 고리에서 우플리스치헤는 차로 3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고리와 우플리스치헤는 현재의 역사와 고대의 역사를 만나는 교차점에 있다. 인류의 역사를 뒤흔들었던 공산정권의 지도자의 생애를 볼 수 있는 스탈린 박물관과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암석 도시를 한나절 동안 구경할 수 있다. 암석의 나이에 비하면 찰나이겠지만 도시를 걷다보니 타임머신을 타고 미지의 여행을 하는 기분이 들었다.

스탈린은 조지아의 작은 소도시 고리(Gori)에서 태어났다. 1879년에 태어나 1883년까지 지냈으니 기억에도 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으리라. 스탈린이 정권을 잡은 후 고향 출신들을 핍박하였다고 하니 그에게 변방 출신에 대한 열등감이 있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고리는 1989년 구소련의 붕괴와 조지아의 독립운동 시절 스탈린의 고향이라는 이유로 폐쇄되기도 하였다. 지금은 스탈린 박물관이 있어서 관광 명소로 탈바꿈 했다. 1950년대 건립되어 처음에는 박물관으로 사용되다가 스탈린을 추모하기 위해 변경되었다. 고리시내 중앙 광장에 위치해 있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다. 고리시는 거리를 걷는 사람들이 거의 보이지 않고, 하얀색의 건물들은 세월의 때가 묻어 회색빛으로 변해 마치 무채색의 도시 같다.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과 햇살만이 이 도시에서 방황하고 있었다.


'트빌리시의 낡은 집'


박물관은 고딕양식의 기둥을 한 중후한 모습이었다. 지붕 끝에서 조지아 국기가 바람에 펄럭이며 으스대고 있었다. 박물관 입구에는 녹색의 기차가 세워져 있었다. 생전에 스탈린은 비행기 타는 것을 싫어했다고 한다. 그래서 방탄 소재로 만든 최고급 기차를 이용했다. 1941년부터 사용한 이 기차는 무게가 83톤에 달한다. 스탈린이 얄타회담 장소로 갈 때도 이 기차로 이동을 했다니 우리 조국의 분단을 결정했던 회담을 생각하니 역사의 비정함이 전해온다.

박물관 앞에는 스탈린의 생가 모형이 박스로 제작된 조형물 속에 들어있다. 입구에는 붉은 밧줄로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었다. 그런데 덩치가 제법 큰 개 한마리가 개의치 않고 안으로 들어가 마루 위에서 한가롭게 잠을 자고 있었다. 권력의 부질없는 영욕이 스쳐가는 풍경이다.

박물관 안에는 스탈린의 어린 시절, 청년 시절, 레닌과의 만남, 공산당의 지도자로 활동했을 때의 자료들이 연대순으로 진열되어 있다. 스탈린의 젊은 시절 모습이 많이 야위어 보여 예술가 분위기를 풍겼다. 권력을 향할수록 점점 권위적인 모습으로 변해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또 중국에서 선물로 보내준 붉은 휘장의 한문 글씨가 보였다. 마지막 방에는 스탈린의 데드마스크가 붉은 천 위에 누워 있었다. 오랫동안 권력의 정점에 있었던 스탈린. 그의 영혼은 지금 어디를 떠돌고 있을까? 이렇게 누워 있으려고 바람 같은 권력을 그렇게 탐했을까?.....




한희원

시인을 꿈꾸던 문청출신의 한희원은 조선대 미대를 나와 교사로 활동하다 1997년 '내 영혼의 빈터'를 주제로 첫 개인전을 열며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50여 차례의 개인전과 국내외 전시에 참여했다. 2015년 양림동에 '한희원 미술관'을 개관했다. 화업 45년 만에 화가의 길을 침잠하기 위해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일년 동안 작업활동을 했다.

#이건 어때요?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