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건물이 1980년 5·18 훨씬 전부터 있었으니 50년은 더 됐을걸요. 계엄군들이 저기서 총 들고 쫙 깔려있던 게 기억에 선한데 몇 년 전부터 조금씩 무너지더니 지붕까지 주저앉았어요."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주둔지로 이용했던 광주 동구 주남마을 '목장 건물'이 사적지로 활용되기는커녕 안전관리마저 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26일 광주 동구에 따르면 주남마을 위령비 인근 옛 목장 건물(동구 월남동 144번지 일원)은 빈집 관리명단에 포함되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다. 이에 따라 2013년 이후 10년간 단 한 차례도 건물 소유주를 대상으로 보수 요청·이행강제금 부과 등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것은 물론 사실상 방치되면서 흉물로 전락했다.
이 목장 건물 일대는 1980년 5월 당시 광주와 화순을 오가는 길목을 차단하려는 계엄군 수십 명이 주둔하던 장소다. 이 군인들은 80년 5월 23일 화순을 향하는 미니버스에 무차별적으로 총을 쏴 17명을 사살하는 등 수 차례의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다.
당초 젖소 사육 목장으로 이용했던 이 건물은 수십 년 동안 사람 손길이 닿지 않아 반쯤 무너져 내린 상태다. 한쪽 벽면은 완전히 부서져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고, 건물 인근 바닥에는 슬레이트와 목재 파편이 흩어져 있다.
동구는 현재 지역 내 빈집 404채를 확인, 관리명단에 포함해 정비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이 목장 건물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애초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은 1년 이상 사용되지 않은 주택(단독주택, 다세대주택·연립주택 등)을 자치구 차원에서 정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목장 건물은 주택이 아닌 '동·식물 관련 시설'로 등록돼 있어 '정비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셈이다.
주민들은 목장 건물이 붕괴하면서 안전 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 역사적 현장인 건물이 수십 년째 방치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한다.
마을 주민 김모(86)씨는 "5·18 당시 저 건물에 군인들 수십 명이 주둔해 마을을 감시했던 게 생생히 기억나는데, 어느덧 건물이 비워진 채로 수십 년이 흘렀다"고 회상했다.
다른 주민 이모 씨는 "5년쯤 전부터 특히 건물이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는데, 위험하고 흉물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안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걱정이다"며 "주민들이 건물을 직접 꾸미고 리모델링해 마을 역사관으로 이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이에 대해 동구 건축과 관계자는 "건물이 법적으로 '빈집'에 해당하지 않는 데다가 주위 민원이 접수되지 않아 별도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해당 건물·부지 소유주를 대상으로 한 안전조치 요청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동구 인문도시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주남마을의 도로를 넓히는 취지의 정비사업을 구상 중이다"며 "정비 사업을 통해 목장 건물을 함께 보수·활용할 수 있도록 살피겠다"고 했다.
안혜림기자 wforest@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