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국립중앙도서관의 지역 분관으로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이 추진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이 확정되면 '국립세종도서관'에 이어 국립중앙도서관의 두번째 지역 분관이 된다.
24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 심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예결위원인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동남갑)이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을 정부에 요청했다.
윤 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제9차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광주에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윤 의원은 "서울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 세종시에는 국립세종도서관, 부산에는 국회도서관 부산분관이 있다"며 "그런데 서쪽 지역에는 이런 거점 도서관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서관이 없어 지역 주민들의 아쉬움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을) 적극 검토해 주셨으면 한다"며 박 장관에게 요청했다.
윤 의원 질의에 박 장관은 "국가지식 인프라라고 하는 것은 지방의 균형발전을 위해 굉장히 필요하다"며 "국립중앙도서관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을) 적극 검토하고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이 정부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국립광주도서관 건립은 연면적 2만5천㎡(국립세종도서관 규모)로 2023년부터 4년간 진행된다.
총 사업비는 2천억원이며, 자료 보존관과 문화예술자료 아카이브 구축, 이용자 공간, 편의시설 등이 들어선다.
내년에는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한 10억원의 예산을 정부에 요구한 상태다.
국립광주도서관 예산은 정부안(문화체육관광부)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 증액이 필요한 사안이다.
광주 지역 정치권이 정부에 요구한 여러 증액 사업 중 국립광주도서관은 상위 순번에 있어 예산 반영은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문제는 윤석열 정부의 내년도 예산 편성 기조가 '긴축'이라는 점이다. 긴축을 이유로 증액 사업 반영이 대폭 축소되면, 신규사업인 국립광주도서관이 제외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1945년 개관한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2006년)과 지역 분관으로 국립세종도서관(2013년)을 소관 도서관으로 두고 있다.
한편 윤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역 주민들이 지역 거점국립대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예치금, 발전기금 등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국립대 도서관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서울=김현수기자 cr-2002@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