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의 최후 항전지이자 상징공간인 옛 전남도청 복원 논의가 향후 공간의 성격, 기능은 제쳐두고 콘텐츠에 집중돼 본말이 전도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문광부와 광주시 등 민관으로 구성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복원과 관련한 첫 공개 세미나를 ‘옛 도청’의 성격이나 역할,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한 논의는 제쳐두고 ‘콘텐츠 복원’을 주제로 들고 나와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들이 1일 개최한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복원 모델 도출을 위한 세미나’에서는 복원될 도청, 공간의 역할과 기능이라는 근원적인 문제는 제쳐두고 콘텐츠와 추진 ‘주체’논의가 전개되는 등 논의가 산으로 가는 형국이다.
더구나 전시 관련 예산이 400억원에 달한 현실에서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상황을 실물 또는 가상 콘텐츠로 구현’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와 박제화의 위험성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구나 5·18 세계 유네스코 기록물을 전시하는 5·18 기록관이나 또 다른 전시·학습·체험 공간인전일빌딩245와 역할 구분도 명확하지 않다.
이같은 추진 과정이 결국 건축과 내용물을 1980년 당시 상황으로 ‘재현’하는 것 이상 나아가지 못할 경우, 자칫 엣 전남도청이 박제화된 공간으로 추락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킨다.
옛 전남도청복원 협의회는 옛도청을 세계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추진을 광주가 독점해서는 안된다. 문호를 전국, 세계로 개방해서 세계시민과 함께 만들어, 세계적 공간으로 확장해야한다. 어렵게 복원된 옛 도청이 특성도 경쟁력도 없이, 광주만의 공간으로, 박제화 돼서는 안될 일이다.